유청으로 넘어오면 여러가지 고려할 사항이 생겨서 복잡해진다. 유청은 소에서 나온 1차적인 생성물인 우유를 여러가지 공법을 사용해 가공한 것이기 때문이다. 유청은 수용성 단백질, 유당, 비타민, 무기질 등 우유의 영양 성분을 50% 정도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유청의 가공 상태에 따라 소에게 먹인 사료가 어떤 것이냐가 영향을 미칠 것이냐? 미치지 않을 것이냐?를 결정지을 수 있다.

 

대부분의 유청은 저온살균(Pasteurization)을 통해 생산된 우유를 가지고 치즈나 카제인을 만드는 공정 중에 생산된다. 유청 원료는 크게 Sweet whey와 Acid whey로 나뉘는데, Cheese Whey라고 불리는 Sweet Whey는 경질, 반경질, 연성치즈나 렌넷(송아지의 위장에서 추출한 효소를 이용해 만든 합성효소)을 이용한 카제인 생산의 부산물이다. 산을 이용해 치즈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pH는 5.9~6.6 정도로 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에 해당된다. 염산을 이용하여 카제인 미네랄염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Acid Whey는 pH 4.3~4.6 정도를 차지하는 중산성 물질이다.

 

이 유청들의 수분함량은 약 94%정도이며 총 6%정도의 고형물(Solid)이 존재하는데, 그중 단백질 함량은 0.6%에 불과하다. 단기보관의 경우 5℃ 이하로 냉장하여 보관하고, 장기보관하거나 유아용 또는 단백질 보충제 용도로 쓸 원료는 저온살균을 거쳐 박테리아 등의 작용을 억제한다.

 

전체 유장액에서 치즈를 만들 때 남은 커드(curd)찌꺼기를 제거하고 6%정도 있는 고형물만을 분리해낸다(Microfiltering). 이 분리과정은 역삼투작용, 나노필터링, 증발-건조, 기계적증기재압축(MVR) 등을 거치게 되며 분리된 고형물에서 결정화된 유당 부분을 분리하고, 동결건조를 통해서 유청만을 분말화한다. 여기까지 과정은 Sweet Whey를 위한 과정이며 Acid Whey 경유 젖산량이 많아 응고되므로 스프레이 건조를 할 수가 없어서 중화를 먼저 거쳐야 한다.

 

이렇게 준비된 유청분말(60% 고형물)들에서 울트라필터링이나 원심분리를 거치면 WPC가 탄생되며 우유 내 주요물질인 락토페린, 락토글로불린 등은 크로마토그래피(시료들이 섞여 있는 혼합물을 이동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를 통해서 분리해낸다. 분리되고 농축된 WPC는 애초에 0.6%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유장액에서 울트라필터링을 통해 20~30배 농축 후에 Diafilteration을 사용해서 유당, 회분(Ash)을 더 제거하고 80%까지 농도를 올려서 만들어진다.

 

80% 단백질 함량을 가진 잘 알려진 WPC는 3.8% 수분, 81% 조단백질(기타 질소물질 포함), 75% 순수유청단백질, 3.5% 유당, 7.2% 지방, 3.1% 회분, 1.2% 젖산을 함유한다(이렇게 농축하는 과정에서 지방함량도 0.05%에서 7.2%까지 증가된다). 이런 WPC는 상당 부분 우유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여러가지 가공 과정을 거쳤지만 일반적으로 우유의 생물학적 가치에 큰 변화를 주지 않는다. 그래서 WPC는 단백질이 상당히 많은 우유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WPC 수준이라면 우유가 함유하고 있는 지방을 상당량 함유할 수 있으므로(1일 30g씩 100g을 섭취하게되면 유지방 7g가까이를 섭취하게 된다), Grass-Fed WPC를 이용하는 것이 장점으로 충분히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지방을 거의 100%에 가깝게 제거하는 WPI의 경우라면 말이 달라진다. WPI는 WPC에서 추가적인 필터링을 거쳐서 유지방 성분 및 기타 미량 물질을 거의 만나볼 수 없기 때문이다.

 

WPI의 경우 최신식 마이크로필터링(hot ceramic filter → cold organic filter)을 사용하여 탈지를 시키는 과정을 거치므로 다른 성분도 이 과정중에 제거되지만 주로 지방과 지용성 물질의 제거가 가장 확실하게 일어나는 과정이다. 결국 Grass-fed와 Grain-fed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의 혈중 지질성분 차이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과정은 두가지 사료를 먹인 소의 우유에 함유된 지방산을 모두 제거하기 때문이다.

 

유청과 관련된 많은 자료들은 유청에 대한 여러가지 잘못된 오해들을 잡아왔다. 유청은 두말할 것 없이 가장 훌륭한 단백질 급원 중에 하나이다. ①충분한 양질의 단백질을 공급하고, ②골격근 합성 등에 유리한 아미노산 프로필을 제공하고(높은 류신 함량 등), ③소화부담이 적고, ④효율성, 편의성, 휴대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이런 장점들이 인정받더라도 원료에 대한 불안감이 지워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유청이라해도 그 가치는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다.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입할 때, 성분의 효능, 안전-안정성(부작용 등), 맛, 가성비 등의 요소를 고려한다. 다음의 요소들을 고려했을 때, WPC는 WPI에 비교해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①성분의 효능상 큰 차이가 없다(단백질 가치를 비교할 때) ②우유의 자체적인 미량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③생물학적으로 덜 가공되어있다. ④맛이 더 있고 가성비가 좋다. 유당에 민감해서 WPC를 선택하지 못하는 이유가 아니라면 혹은 아주 민감하게 지방, 탄수화물, 콜레스테롤, 나트륨 등에 민감하다면 WPC는 그 대상이 아닐 것이다.

 

WPI를 선택하는 소비자는 조금 더 단백질에 집중하겠다는 의미와 유당불내증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아직까지 WPI를 만드는 과정까지의 가공 공정이 유청단백질을 섭취하는 소비자들에게 어떤 이슈들을 남기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하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우유 자체의 성분을 최대한 즐길 것을 강조하기 때문에 단백질이 아닌 영양소로서의 가치가 없는 WPI에 대한 질책을 여전히 하고 있다.

 

정리해보면 WPC는 우유에 더 가깝고 우유에 대한 영양소를 일부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이다. 그렇기에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면 WPC이면서 Grass-Fed 제품을 섭취하는 것을 추천한다. 일부에서 Grass-Fed는 유당이 없거나 유당이 있어도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말하는데 과학적인 근거는 찾아볼 수 없다.

 

이들의 주장은 Grass-Fed된 우유 자체가 Grain-Fed보다 덜 산성이어서 산에 의한 장의 민감성 증가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장에서 트러블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인데, 유청 자체를 아예 섭취하지 않은 사람이 유럽내에서 유통되는 우유를 먹는 경우에도 유당불내증에 의한 트러블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근거의 재현성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 유당때문에 민감하다면 Grass-fed이든 Grain-fed이든 우유 원료에 관계없이 WPC는 피해야 한다.

 

유당 등의 원인으로 WPI를 선택한다면 Grass-fed나 Grain-fed 등을 고려할 이유가 없다. 당신에게 영향을 미칠 영양소들은 이미 다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이때 걱정되는 부분은 정말 가공 처리를 오래한 것이 우리가 섭취하는데 성분의 안정성이나 섭취 자체의 안전성에 영향이 없느냐이다(아직 밝혀진 바 없다).

 

정말 모든 것에 예민하다면 가공 과정의 최소화, 특히 처음 우유로부터 카제인이나 유지방을 뽑아 치즈나 카제인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rennet(효소)이나 acid(산) 처리를 하지 않고 최대로 자연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 유청을 섭취하려면 native wpc, wpi 제품을 접해야 할 것이다(물론 이 제품은 접근성이나 가성비가 매우 떨어진다).

 

단백질을 보충제로 꼭 먹어야 한다는 가정 하에 유청을 고를 때, 다음과 같은 복잡함과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싶다면

① 금전적인 문제가 없다면 Skim Milk를 통해서 만든 Native Whey 형태를 이용하라.

② 유당불내증의 문제가 없다면 Native WPC 또는 Grass-Fed WPC를 이용하라.

③ 유당불내증이 있다면 가공공정에 민감하지 않다면 WPI 제품을 이용하라.

④ 다 필요없고 가성비를 따진다면 일반 WPC 저렴한 제품을 이용하라.

 

MONSTERZYM SPORTS SCIENCE TEAM

글 작성 : 스포츠영양사 우수 이호욱

'면역력강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우린 효능 및 부작용  (0) 2020.09.10
무수 구연산의 효능.  (0) 2020.08.23
벤포티아민 효능, 복용방법, 부작용  (0) 2020.08.15
"트립토판(L-tryptophan)  (0) 2020.08.04
.카테킨, 녹차의 20배 함유  (0) 2020.07.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