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건중탕 小建中湯
 

溫裏劑 (補氣健脾) 

  계지(桂枝) 6.0   /   감초(甘草) 6.0   /   생강(生薑) 6.0   /   대추(大棗) 6.0   /   작약(芍藥) 12.0   /   엿(膠飴) 40.0

出典

1. 傷寒論
◎ (太陽病中編) [傷寒陽脈澁, 陰脈弦, 法當腹中急痛者, 先與小建中湯, 不差者, 小柴胡湯主之.)
[상한병으로 양맥이 삽하고 음맥이 현하면 당연히 배가 갑자기 아플 것이다. 우선 소건중탕을 투여하고 낫지 않으면,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 (太陽病中編) [傷寒 二三日 心中悸而煩者. 小建中湯主之.]
[상한에 걸린지 2, 3일이 되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면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2. 금궤요략
◎ (血痺, 虛勞病門) [虛勞, 裏急, 悸 , 腹中痛, 夢失精, 四肢 痛, 手足煩熱咽乾口燥, 小建中湯主之.]
[몸이 약해져서 배가 땡기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코피가 나고, 배가 아프고 꿈에 失精을 하며, 온몸이 아프고, 손발이 뜨거우면서 목과 입이 마를 때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 (黃疸病門) [男子黃, 小便自利者, 當與虛勞小建中湯.]
[황달이 있고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은 당연히 몸이 약해서 나타나는 것이니, 소건중탕을 사용한다.]
◎ (婦人雜病門) [婦人腹中痛, 小建中湯主之.]
[ 부인이 배가 갑자기 아플 때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處方解說

 1. 말초혈관과 소화관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정맥모세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정맥에서 혈류가 정체되어 수족(手足)의 번열(煩熱)이 있고, 고혈압, 또는 저혈압이 있고
2. 소화관에서의 배출, 흡수기능이 저하되어 소화불량과 변비(便秘) 또는 설사가 있으며, 흡수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低血糖症)이 되고 면역능이 저하되어 있으며
3. 저혈당증으로 인하여 식욕부진, 도한(盜汗), 무기력(無氣力), 어지러움, 피로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말초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말초혈관과 소화관벽에 분포된 혈관의 혈류를 증진한다.
* 흡수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低血糖症)에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흡수를 증진 할 뿐만 아니라 직접 당(糖)과 영양분을 공급하여 저혈당증을 개선한다.
4. 뇌조직에의 영양공급불량[저혈당증 때문에]으로 인하여 신경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심계항진(心悸抗進), 야제증(夜啼症), 불안(不安) 등을 나타낼 때
* Glucose[물엿]을 직접 공급하여 신경기능을 항진한다.
5. 소화관 평활근의 운동능 저하와 담도(膽道)의 운동능 저하로, 담즙(膽汁)의 분비가 저하되어 식욕이 부진하고, 시시(時時)로 소화관 경련이 일어날 때
* 담도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소화관의 평활근 경련을 억제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계지, 생강, 작약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소화관 내벽에 분포된 혈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2. 작약, 생강은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장경련을 억제한다.
3. 물엿은 흡수 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을 개선한다.
4. 작약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한다.

 

本草의 藥理 作用

작 약
① 여러 종류의 당(糖), 점액질, 유기산과 미량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부족으로 인한 도한(盜汗)을 완화하는 수렴작용을 한다.
② Paeoniflorin의 혈관운동능 강화작용이 Cinnamic aldehyde의 혈관확장작용에 힘입어, 말초혈관과 소화관 점막에 분포된 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소화관 운동능을 항진시켜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위산분비 억제작용이 있다.
③ 방광의 운동능 강화로 빈뇨(頻尿)를 개선하고, 자궁(子宮), 신장(腎臟)근육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자궁과 신장의 하수(下垂)로 인한 요통(腰痛)을 완화한다.
④ Paeoniflorin은 정맥(靜脈)근육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정맥(靜脈) 모세혈관의 혈소판응고를 방지하여 혈류정체(血流停滯)를 개선하므로 혈관울혈로 인한 자반병(紫斑病)을 치료한다.
⑤ 관상동맥을 확장하여 혈류를 가속화(加速化)하여 심장기능을 개선한다.
⑥ 골격근과 소화관경련을 억제하여 복통을 완화한다.
⑦ 이질간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강하다. 소염, 해열작용을 한다.
⑧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진경 진통작용을 한다.

생 강
① 위액분비 촉진작용이 강하여 저산증을 개선한다.
② 지구(止嘔)작용을  한다.
③ 소염, 진통작용을 한다.
④ Zingiberol이 혈관운동중추를 자극하여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발한을 증진한다.
⑤ 감기유발균, 장내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⑥ 장관의 연동운동능을 항진하고, Gas와 내용물의 배출을 강화하며 장내 발효 Gas의 발생을 억제한다.

감 초
① Glycyrrhizin이 위점막(胃粘膜)을 보호하고 궤양(潰瘍)을 치료한다.
② Glycyrrhetic acid는 진해(鎭咳), 항염증작용을 한다.
③ LH-1은 면역능을 촉진한다. 물엿(膠飴)
① 오랫동안의 장연동운동능 저하로 장(腸)의 흡수력이 불량하여 저혈당증이 된 인체에 직접 당분을 공급한다.

계 지
① Cinnamic aldehyde는 혈관을 확장한다.
② 신장사구체의 혈류량을 증진하여 이뇨를 촉진한다.
③ 뼈에 대한 영양공급이 불량해서 나타나는 골조송증으로 인한 퇴행성 견통, 어깨관절 주위염에 대한 혈액공급을 증진하고 진통작용을 한다.
④ 자궁혈관 탄력부족에 의한 산후의 출혈과다와 장기간의 월경출혈을 지혈한다.
⑤ 위장점막에의 혈류부족에 의한 소화불량과 한냉통(寒冷痛)에 작용하여 소화를 촉진하고 소화관의 온난감을 증가시킨다.
⑥ O-Methoxy cinnamic aldehyde는 Influenza virus 증식을 억제한다.
⑦ 계지의 정유는 항보체작용을 하여 염증을 빨리 종식한다.
⑧ 진정작용, 진통작용이 있다.
⑨ 황색포도상구균, 상한(傷寒)간균, 피부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投  藥

1. 배는 허복만(虛腹滿)이거나 장경련으로 복직근(腹直筋)이 긴장되어 있다.
2. 수족이 번열(煩熱)할 때도 있다.(정맥말초혈관의 울혈로.)
3. 입은 마르고 목도 마르고(점막세포의 진액부족으로 인하여), 소변은 조금씩 자주 나오는 경우가 많다.(방광괄약근의 운동능부족으로)
4. 면역능 저하로 여러가지 염증을 잘 일으키며, 또는 면역과잉으로 알러지를 일으키는체질이 된다.
5. 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발생하는 저혈압, 고혈압이 많다.
6. 소화불량, 식곤증(食困症)이 있으며, 위액분비(胃液分秘) 저하로 인한 저산증(低酸症)이 되기도 한다.
7. 심계항진, 신경쇠약의 증상이 있다.
8. 영양공급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체로 빼빼하게 여윈 체질이다.
9. 저혈당증상 즉 식욕부진, 도한(盜汗), 무기력(無氣力), 어지러움, 피로 등이 있다.  

應  用

1. 대장경련으로 인한 복통.
2. 야뇨증(夜尿症), 빈뇨증(頻尿症), 야제증.
3. 신장염, 전립선비대 등.
4. 만성복막염의 경한증상으로서 복수가 없고 허약할 때.
5.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증 등의 사람이 혈관운동능저하가 원인일 때.
  이때는 피곤함과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 가벼운 어지러움이 있다.
6. 위하수, 위아토니 [위장평활근이 무력하여 많은 혈류가 위장쪽으로 몰려서 식후(食後)에 졸리거나 하품이 나올 때.]
7. 만성장염, 만성하리, 점액변, 직장암.[장내용물이 장의 연동운동 부족으로 흡수도 잘 되지 않고 배설도 잘 되지 않으므로]
8. 치핵, 탈항, 탈장.
9. 임파선염, 편도선비대, 아데노이드, 알러지1형의 질환.
10. 유정(遺精), 몽정(夢精), 성적신경쇠약 등. [계지가용골모려탕과의 합방증이 많다.]
11. 소아(小兒)노이로제, 소아(少兒)상습성두통 등에도 이 탕증이 많다.
12. 담석증이면서 심하부(心下部)에 둔통이 있을 때. [담도평활근의 운동능 부족으로 담즙분비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여 생긴 병이므로 이 탕을 써서 담도의 평활근운동을 항진시키므로 써 담석을 빼낼 수 있다.]
13. 황달, 만성간염, 간경화.
14. 복통이 발작적이거나 경련성인 충수염.
15. 만성소화불량 특히 소아소화불량.
16. 척추를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 무력하여 나타나는 디스크.
17. 각기로 다리에 힘이 없고 장단지가 땡길 때.
18. 자반병 [정맥모세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인하여 모세혈관이 혈류의 흐름을 지탱하지 못해서 나타날 때.
19. 탈장 특히 소아탈장.
20. 화농성피부염. [일년 내내 종기가 여기저기 생기는 사람은 배농산 및 배농탕을 합방하여 많이 사용된다.]
21. 설사, 변비, 고혈압, 저혈압.
22. 소변 자주 볼 때.[육미지황환과 합방하여 사용한다.]

출처 : 신비한 약초세상
글쓴이 : 초롱박 원글보기
메모 :

표안에 있는 제목을 마우스로 누르면 상세한 내용이 나옵니다.

1, 두통(머리아픔)

21, 변비

41, 각기병(비타민B1 부족증)

2, 복통(배아픔)

22, 불면증(잠못자기)

42, 더위먹은데

3, 요통(허리아픔)

23, 발한(식은땀, 다한)

43, 어혈(피가 뭉친것)

4, 견통(어깨아픔)

24, 복수(배에 액체찬것)

44, 식은땀(발한, 다한)

5, 흉통(가슴아픔)

25, 혈뇨(피오줌)

45, 학슬풍(무릎마디붓고아픈것)

6, 발열(열,열나기)

26, 딸꾹질(애역)

46, 알레르기

7, 경련(풍,경풍)

27, 현훈(어지럼증, 현기증)

47, 독감(유행성 인플루엔자)

8, 호흡곤란

28, 비만증

 

9, 심계항진(가슴두근거리기)

29, 나른하기

 

10, 가래(담,담음)

30, 부종(붓기)

 

11, 기침(해수,해소)

31, 멀미

 

12, 각혈(객혈)

32, 감기

 

13, 설사

33, 천식

 

14, 구토(게우기)

34, 이질

 

15, 헛배부르기

35, 중풍(뇌졸증, 뇌출혈)

 

16, 토혈

36, 방사선병

 

17, 가슴쓰림

37, 구토

 

18, 식욕부진

38, 소변불통(오줌안나오는것)

 

19, 황달

39, 유뇨증(저절로 나오는 오줌)

 

20, 구취(입안냄새)

40, 편두통

 

1, 늑간신경통

71, 폐 및 기관지

141, 종기

21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머리3차신경통

72, 기관지염

142, 뾰루지

212, 자궁질부미란

3, 안면신경마비

73, 기관지폐염

143, 뾰루지 몰림

213, 자궁경관염

4, 상박신경통(팔꿈치어깨)

74, 폐농양

144, 봉과직염

214, 불임증

5, 기운목

75, 기관지천식

145, 신경성피부염

215, 냉(몸이찬데)

6, 좌골신경통

76, 기관지확장증

146, 옴

216, 임신오조(입덧)

7, 식도암

77, 늑막염

147, 피부염

217, 습관성 유산

8, 위암

78, 폐기증

148, 옻 피부염

218, 유즙부족

9, 유방암

79, 심장 판막장애

149, 무좀

219, 젖많음증

10, 장암

80, 심장 신경증

150, 습진

220, 유선염

11, 방광암

81, 협심증

151, 백반(흰반점)

221, 음부가려움증

12, 직장암

82, 심근염

152, 버짐

222, 자궁탈충증

13, 자궁암

83, 류머티스성 관절염

153, 건선

223, 임산부 경련발작

14, 간암

84, 심부전

154, 비듬

224, 산후출혈

15, 혀암

85, 급성위염

155, 각화증

225, 산후열

16, 후두암

86, 음식에 체한데(11가지)

156, 두드러기

226, 산후부종(산후붓기)

17, 폐암

87, 만성위염

157, 여드름

227, 산후기침

18, 림프육종(임파육종)

88, 위하수

158, 주사비

228, 산후복통

19, 피부암

89, 위경련(가슴앓이)

159, 기미

229, 산후증

20, 혈액병

90, 위/십이지장궤양

160, 주근깨

230, 갱년기장애

21, 빈혈

91, 위 신경증

161, 살갗트기

231, 아토피성 피부염

22, 자반병(출혈성빈혈)

92, 신트림

162, 다한증

232,

23, 백혈병

93, 위산과다

163, 땀띠

233,

24, 혈관병

94, 만성대장염

164, 액취증(암내)

234,

25, 동맥경화증

95, 장불통증

165, 사마귀

235,

26, 고혈압

96, 충수염

166, 티눈

236,

27, 저혈압

97, 복막염

167, 탈모증

237,

28, 결핵

98, 항문주위염

168, 원형탈모증

238,

29, 폐결핵

99, 항문열상

169, 흰머리카락

239,

30, 골관절결핵

100, 탈항

170, 화농성염증

240,

31, 임파절결핵

101, 치루

171, 단독

241,

32, 장결핵

102, 치핵

172, 화기

242,

33, 신장결핵(콩팥결핵)

103, 치질

173, 단순포진

243,

34, 부고환결핵

104, 만성간염

174, 표저(생손앓이)

244,

35, 난소결핵

105, 간경변증

175, 골수염

245,

36, 피부결핵

106, 담낭염

176, 욕창

246,

37, 비타민부족증

107, 담석증

177, 하퇴궤양

247,

38, 비타민A부족증

108, 급성신장염

178, 특발성괴저(피멈춤)

248,

39, 비타민B1부족증

109, 만성신장염

179, 근무력증

249,

40, 비타민B2부족증

110, 신우염

180, 건초염(힘줄염증)

250,

41, 비타민C부족증

111, 신장결석

181, 관절염

251,

42, 비타민D부족증

112, 방광염

182, 갓난아이젖못빠는증

252,

43, 비타민PP부족증

113, 요폐증(오줌못누는것)

183, 갓난아이밤울음증

253,

44, 내분비질병

114, 음위증(발기불능)

184, 갓난아이배꼽질병

254,

45, 당뇨병

115, 고환염

185, 소아 급성 기관지염

255,

46, 갑상선기증항진증

116, 유정

186, 소아  폐염

256,

47, 요붕증

117, 임질

187, 소아 구내염

257,

48, 갑상선종

118, 요도염

188, 젖먹이 소화불량

258,

49, 기생충병

119, 매독

189, 소아 장염

259,

50, 회충(거위증)

120, 눈다래끼

190, 소아 변비

260,

51, 십이지장충

121, 안검연염

191, 소아 여윔증

261,

52, 촌백충증

122, 결막염

192, 소아 급성신장염

262,

53, 요충증

123, 트라코마(가시눈)

193, 소아 신우신장염

263,

54, 전염병

124, 각막궤양

194, 소아 야뇨증

264,

55, 유행성감기

125, 삼눈(눈핏발시린것)

195, 소아 빈혈

265,

56, 유행성간염

126, 초발 백내장

196, 구루병

266,

57, 적리(붉은배앓이)

127, 야맹증

197, 소아 척수마비후유증

267,

58, 디프테리아

128, 약시

198, 소아 경련

268,

59, 백일해(백날기침)

129, 비염

199, 소아 발육부진증

269,

60, 홍역

130, 코 폴리스(비용종)

200, 태독

270,

61, 성홍열

131, 축농증(상악동염)

201, 소아 유행성이하선염

271,

62, 말라리아(학질)

132, 코막힘

202, 갓난아이 경증

272,

63, 뇌출혈

133, 구내염(입안염증)

203, 영양실조

273,

64, 간질

134, 치통

204, 소아마비

274,

65, 히스테리

135, 치은염

205, 월경불순

275,

66, 정신분열

136, 치조농루증

206, 월경과다증

276,

67, 신경쇠약

137, 혀궤양

207, 월경통

277,

68, 건망증

138, 인후두염

208, 무월경

278,

69, 정신병

139, 편도염

209, 자궁부정출혈

279,

70, 뇌막염

140, 농가진(헌데)

210, 대하(이슬)

280,

1, 상처

21, 복어중독

41, 부인병

2, 교창(동물에물린데)

22,  메틸알콜중독

42, 보혈강장제

3, 사교창(뱀에물린데)

23, 술중독

 

4, 출혈

24, 알칼리(양잿물)중독

 

5, 타박상

25, 일산화탄소(연탄가스)중독

 

6, 골절

26, 눈이물

 

7, 탈구(뼈가어긋난것)

27, 식도이물

 

8, 염좌(힘줄이상한것)

28, 귀이물

 

9, 동상

29, 코이물

 

10, 화상(불에덴상처)

30, 진정약(우황청심환)

 

11, 코피가 날때

31, 열내림 및 아픔멎이(해열,진통)

 

12, 익사

32,  해소(기침멎이)

 

13, 파상풍(땅균에감염된것)

33, 강심제

 

14, 외과적창상

34, 혈압내림제

 

15, 뇌졸중(중풍,뇌출혈)

35, 진통제

 

16, 일사병

36, 건위소화약

 

17, 식중독

37, 설사멎이(지사제)

 

18, 버섯중독

38, 변비(설사제)

 

19, 독말풀중독

39, 간염

 

20, 부자중독

40, 오줌내기(이뇨제)

 

  건강은 인간이 이땅에 살면서 가장 중요한 귀중한 재산입니다.  건강하면 오래살 수 있습니다.    인간은 영원히 살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는 것이 생물학자들의 견해입니다.  그러나 현 세상은  수많은 질병으로 인해 현대의 의술이 질병을 따라잡지 못하는 참혹한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옛부터 전해내려오는 민간요법은 현대 의학의 아버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학이 발달  한 미국이나 선진국에서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민간요법은 경험의학으로 누구나 손쉽게 돈  을 얼마 드리지 않고도 병을 고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약재는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것들입니 다.

  
사용방법 또한 간편하고 치료 효과가 대단히 빠릅니다.  감기에서부터 난치병에까지 현대의학 이 포기한 질병도 거뜬히 고치는 일들이 자주 발생하는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많은 분들이 무료로 이용해주시고 새로 발굴되는 치료법이 있다면 메일을 보내주셔서 계속 새롭게 내용이 업  데이트되어 가난한자나 부자 모든분들이 건강하시고 천수를 누리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출처 : 대간정맥약초사랑
글쓴이 : 홍삼한방 원글보기
메모 :

 

보익(補益)<보허(補虛)>작용

   

기·혈·음·양의 허(虛)를 보완하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강장 · 대사 · 면역 작용

 

- 보기(補氣)작용

      심(心) · 비(脾) · 폐(肺)의 기허(氣虛)를 보익하는 작용
  • 약재

      감초 · 금작근 · 대조 · 만삼 · 백출 · 백편두 · 부소맥 · 산약 · 상황 · 인삼 · 태자삼 ·황기 
※ 감초 : 뿌리, 금작근 : 골담초, 대조 : 대추 과실, 만삼 : 뿌리,

    백출 : 흰삽주 뿌리줄기(햇뿌리를 말한다), 백편두 : 까치콩 종자,

    부소맥 : 참밀의 덜익은 종자(미성숙 과실), 산약 : 참마의 뿌리, 상황 : 뽕나무 버섯,

    인삼 : 뿌리, 태자삼 : 개별꽃의 뿌리, 황기 : 단 너삼 뿌리


- 보혈(補血)작용

      간(肝) · 심(心)의 혈허(血虛)를 보익하는 작용
  • 약재

      당귀 · 백작약 · 숙지황 · 용안육 · 하수오

※ 당귀 : 뿌리, 백작약 : 함박꽃 뿌리, 숙지황 : 지황 뿌리줄기를 찐것, 용안육 : 뿌리줄기, 하수오 : 덩이뿌리

@ 부인들의 갱년기 전 하혈이 심할때 좋다
 
- 보음(補陰)작용

      간(肝)·비(脾)·폐(肺) · 신(腎)의 음허(陰虛)를 보익하는 작용
  • 약재

      구기자 · 맥문동 · 백합 · 사삼 · 석곡 · 양유 · 여정자 · 옥죽 · 저실자 · 천문동 · 황정 ·흑지마

구기자 : 과실, 맥문동 : 덩이뿌리, 백합 : 참니리의 비늘줄기. 사삼 : 잔대뿌리, 석곡 : 석란의 지상줄기, 양유 : 더덕뿌리, 여정자 : 광나무 과실, 옥죽 : 둥글레 뿌리, 저실자 : 꾸지나무 과실, 천문동 : 덩이뿌리, 황정 : 층층 둥글레 뿌리줄기, 흑지마 : 검은참깨       
 

- 보양(補陽)작용

       신(腎)의 양허(陽虛)를 보익하는 작용
  •약재

      골쇄보 · 구자 · 구척 · 두충 · 보골지 · 사상자 · 선모 · 속단 · 쇄양 · 육종용 · 음양곽

      익지인 · 토사자 · 파극천 · 호도인 · 호로파 · 동충하초

※ 골쇄보 : 넉줄 고사리 뿌리줄기, 구자 : 부추의 종자, 구척 : 뿌리줄기, 두충 : 수피(껍질), 보골지 : 파고지 종자, 사상자 : 과실, 선모 : 뿌리줄기, 속단 : 뿌리, 쇄양 : 뿌리줄기, 육종용 : 줄기껍질, 음양곽 : 삼지구엽초의 전초, 익지인 : 익지 과실, 토사자 : 실새삼 종자, 파극천 : 뿌리, 호도인 : 과실, 호로파 : 종자

@ 약재이름뒤에 가 붙으면 종자, 붙으면 과실

 
 - 강장작용

        기육(肌肉)의 피로 해소, 근육 증대, 수면 · 식욕의 개선으로 정신적 · 육체적 활동의 강화작용

 

 - 면역(免疫)작용

        백혈구의 작용을 증대하고 식균세포의 활동 기능 및 세포 면역의 촉진, 임파구의전화율(轉化率) 상승, 인체 체액 등의 면역과 혈청의 함량 증가에 의한 면역기능의 개선 작용

* 식균세포(食菌細胞) : 혈액이나 조직안을 떠돌면서 세균 등을 잡아먹는 세포로서, 백혈구와 같은 운동세포 또는 비장·임파구의 망상 조직세포 등을 이름

 

 - 적응(適應)작용

        적혈구 및 면역 반응의 상하 조절, 내분비 계통의 퇴행성 개선 작용 


 - 물질대사작용

        혈당의 조절, 핵산 · 단백질 · 콜레스테롤  등의 합성 촉진작용

 

 - 심혈(心血) 작용

         심근 수축력의 증대, 혈관의 확장 및 저항력 강하를 위한 강압 작용, 혈류량의 증가, 조혈 기능을 촉진하는 작용

출처 : 자연속의 사이버농장
글쓴이 : 하도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