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자의 보약은 사물탕? ]
 
사물탕이란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등의 네가지 약재로 구성된 처방인데 한방에서는 모든 음(陰)적인 질병을 치료하는 기본적인 처방이 됩니다. 사물탕은 빈혈을 치료하는 보혈제의 대표격입니다.

여성들은 남성들과는 달리 월경이라는 현상이 있어 불가피하게 생리적으로 혈액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심하고 덜한 차이는 있지만 거의 대부분 빈혈 증세가 있게 마련입니다. 그런 여성의 생리적인 특성 때문에 여성의 보약으로는 음적(물질적)인 질환을 다스리고 혈액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사물탕이 명성을 얻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사물탕이 여성에게 좋은 약이라 하여도 체질에 따라서는 몸을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몸을 나쁘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경우도 있게 됩니다. 왜 그런 경우가 생기는지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물탕은 보혈(補血), 보간(補肝)하며 몸에 열을 일으키는 약입니다. 사물탕은 혈액의 생성을 촉진하고 간의 기능을 돋우며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효능도 있습니다. 여기서 간의 기능을 돋운다는 것은 간염이니 간경화를 치료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일반인들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겠지만 간이란 그 성질로 보아 음 중의 음에 속하므로 음적인 물질적 질병을 다스리는 사물탕이 간의 기능(우리 몸의 형태적·물질적 기능을 통칭함)을 돋운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런 사물탕의 특성 때문에 선천적으로 간의 기능이 과강하게 타고났거나 몸에 열이 많은 체질은 사물탕을 복용하면 좋은 효과보다는 부작용이 더 많이 나타나는 편입니다.
이런 체질에서는 평소에도 그렇지만 출산 후나 큰 질병 후 사물탕을 복용하면 그 해로움의 정도가 더욱 심해집니다. 그런 결과로 출산이나 유산 후 또는 큰 질병이 있고 난 후에 몸조리용으로 사물탕을 복용하고 나서 건강이 더 나빠지고 아픈 데가 더 생기는 일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각 체질마다 전문가의 체질진단과 증세진찰을 자세히 받고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사물탕이란 약은 모자라는 피를 만들어주는 보혈제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무나 복용해서는 안되며 만일 체질에 맞지 않는 사람이 장기간 복용했을 때에는 건강을 나쁘게 하고 질병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출산이나 유산을 하고 난 이후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을 때에는 부작용이 더욱 심하니 조심해야 합니다. 출산이나 유산 후에는 조리를 못해서가 아니라 체질에 맞지 않는 잘못된 약을 복용함으로써 병에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니 몸조리를 한다고 자신의 체질도 모르는 채 아무 약이나 함부로 복용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 십전대보탕은 누구에게나 좋은 보약이다? ]
 
허약해진 몸의 기운을 돋우는 보약에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지만 그 중에서도 십전대보탕이라는 한약처방은 일반인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 편입니다. 십전대보탕이란 말 그대로 열가지의 한약재를 취합하여 약해진 몸의 기운을 크게 돋운다는 약입니다.

십전대보탕은 몸에 기가 모자랄 때 모자란 기를 보충하기 위하여 쓰는 사군자탕과 몸에 혈액이나 기타 다른 물질적인 것이 모자랄 때 쓰는 사물탕이라는 약재를 혼합하여 황기와 육계를 더해 기 부족과 혈 부족을 동시에 보충하는 처방입니다. 일반인들은 십전대보탕이라는 약을 단순히 몸의 허약한 기운을 돋우는 약으로만 알고 몸이 약해지면 아무때나 복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건강을 지키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인체에 혈이 부족하게 되면 보통 두통, 어지러움, 시력장애, 피부건조, 두근거림, 쉽게 놀람, 불면, 꿈을 많이 꾸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는 기(氣)와 상대되어 물질적인 측면에서의 혈이 모자란 것이므로 사물탕을 중심으로 하여 가감된 처방이나 기타 보혈(補血)을 시키는 많은 처방을 사용해야 하는데 만약 과도하게 보기(補氣)를 시키는 약물이 들어갔을 경우에 이것이 혈을 보태주는데 도움이 되기보다 오히려 기운을 더 돌려서 혈을 소모시키게 되어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같은 예로 인체에 기가 부족하게 되면 보통 얼굴이 창백하면서 팔다리에 힘이 없고 피로하며, 말하는 것이 힘이 없고 식은 땀을 흘리며, 입맛도 없게 됩니다. 이때는 보기(補氣)시키는 사군자탕을 중심으로 하여 가감된 처방이나 기타 관련된 많은 처방을 사용하여 기운을 인체 곳곳에 돌려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만약 과도하게 보혈(補血)을 시키는 약물이 들어갔을 경우 위에서 언급했듯이 혈이라는 것은 움직이는 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물질적인 측면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오히려 기가 사방팔방으로 뻗쳐나가는 것을 방해하게 되어 환자의 증상을 더 악화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는 보통 쇠약감, 피로감 등을 느끼게 되면 몸이 허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일반적인 기허(氣虛), 혈허(血虛) 등의 증상에도 물론 그런 것들이 포함되지만 반대로 몸안에 습열(濕熱)이 가득찼다던가 담음(痰飮)이 막혀있다던가 해도 그런 증상들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양방적으로 보았을 때 바이러스성 간염이 있는 경우에도 환자들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이럴 때 한의학에서는 간염을 치료하기 위해서 이것의 원인을 주로 습열(濕熱)이 몸안에 차있는 것으로 보고 인진호(茵陳蒿)를 중심으로 하는 처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순전히 몸의 허약한 기운을 보충해주는 약만을 썼을 경우 그 에너지가 고스란히 몸안의 습하면서 뜨거운 기운을 더 강하게 해주는 결과를 낳아서 병세를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몸에 이상이 생겼다고 해서 무조건 몸이 허하다고는 볼 수 없는 것이고, 허한 것도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 것이므로 전문적인 한의학 지식을 가지고 있는 한의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 받은 후에야 십전대보탕을 쓸 것인지 아니면 다른 처방을 쓸 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입니다.

소건중탕 小建中湯
 

溫裏劑 (補氣健脾) 

  계지(桂枝) 6.0   /   감초(甘草) 6.0   /   생강(生薑) 6.0   /   대추(大棗) 6.0   /   작약(芍藥) 12.0   /   엿(膠飴) 40.0

出典

1. 傷寒論
◎ (太陽病中編) [傷寒陽脈澁, 陰脈弦, 法當腹中急痛者, 先與小建中湯, 不差者, 小柴胡湯主之.)
[상한병으로 양맥이 삽하고 음맥이 현하면 당연히 배가 갑자기 아플 것이다. 우선 소건중탕을 투여하고 낫지 않으면, 소시호탕을 사용한다.]
◎ (太陽病中編) [傷寒 二三日 心中悸而煩者. 小建中湯主之.]
[상한에 걸린지 2, 3일이 되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면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2. 금궤요략
◎ (血痺, 虛勞病門) [虛勞, 裏急, 悸 , 腹中痛, 夢失精, 四肢 痛, 手足煩熱咽乾口燥, 小建中湯主之.]
[몸이 약해져서 배가 땡기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코피가 나고, 배가 아프고 꿈에 失精을 하며, 온몸이 아프고, 손발이 뜨거우면서 목과 입이 마를 때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 (黃疸病門) [男子黃, 小便自利者, 當與虛勞小建中湯.]
[황달이 있고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은 당연히 몸이 약해서 나타나는 것이니, 소건중탕을 사용한다.]
◎ (婦人雜病門) [婦人腹中痛, 小建中湯主之.]
[ 부인이 배가 갑자기 아플 때 소건중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處方解說

 1. 말초혈관과 소화관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정맥모세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정맥에서 혈류가 정체되어 수족(手足)의 번열(煩熱)이 있고, 고혈압, 또는 저혈압이 있고
2. 소화관에서의 배출, 흡수기능이 저하되어 소화불량과 변비(便秘) 또는 설사가 있으며, 흡수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低血糖症)이 되고 면역능이 저하되어 있으며
3. 저혈당증으로 인하여 식욕부진, 도한(盜汗), 무기력(無氣力), 어지러움, 피로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 말초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말초혈관과 소화관벽에 분포된 혈관의 혈류를 증진한다.
* 흡수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低血糖症)에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흡수를 증진 할 뿐만 아니라 직접 당(糖)과 영양분을 공급하여 저혈당증을 개선한다.
4. 뇌조직에의 영양공급불량[저혈당증 때문에]으로 인하여 신경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심계항진(心悸抗進), 야제증(夜啼症), 불안(不安) 등을 나타낼 때
* Glucose[물엿]을 직접 공급하여 신경기능을 항진한다.
5. 소화관 평활근의 운동능 저하와 담도(膽道)의 운동능 저하로, 담즙(膽汁)의 분비가 저하되어 식욕이 부진하고, 시시(時時)로 소화관 경련이 일어날 때
* 담도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소화관의 평활근 경련을 억제한다.  

處方의 藥理作用

1. 계지, 생강, 작약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소화관 내벽에 분포된 혈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2. 작약, 생강은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장경련을 억제한다.
3. 물엿은 흡수 불량으로 인한 저혈당증을 개선한다.
4. 작약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한다.

 

本草의 藥理 作用

작 약
① 여러 종류의 당(糖), 점액질, 유기산과 미량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부족으로 인한 도한(盜汗)을 완화하는 수렴작용을 한다.
② Paeoniflorin의 혈관운동능 강화작용이 Cinnamic aldehyde의 혈관확장작용에 힘입어, 말초혈관과 소화관 점막에 분포된 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소화관 운동능을 항진시켜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위산분비 억제작용이 있다.
③ 방광의 운동능 강화로 빈뇨(頻尿)를 개선하고, 자궁(子宮), 신장(腎臟)근육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자궁과 신장의 하수(下垂)로 인한 요통(腰痛)을 완화한다.
④ Paeoniflorin은 정맥(靜脈)근육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정맥(靜脈) 모세혈관의 혈소판응고를 방지하여 혈류정체(血流停滯)를 개선하므로 혈관울혈로 인한 자반병(紫斑病)을 치료한다.
⑤ 관상동맥을 확장하여 혈류를 가속화(加速化)하여 심장기능을 개선한다.
⑥ 골격근과 소화관경련을 억제하여 복통을 완화한다.
⑦ 이질간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강하다. 소염, 해열작용을 한다.
⑧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진경 진통작용을 한다.

생 강
① 위액분비 촉진작용이 강하여 저산증을 개선한다.
② 지구(止嘔)작용을  한다.
③ 소염, 진통작용을 한다.
④ Zingiberol이 혈관운동중추를 자극하여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발한을 증진한다.
⑤ 감기유발균, 장내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⑥ 장관의 연동운동능을 항진하고, Gas와 내용물의 배출을 강화하며 장내 발효 Gas의 발생을 억제한다.

감 초
① Glycyrrhizin이 위점막(胃粘膜)을 보호하고 궤양(潰瘍)을 치료한다.
② Glycyrrhetic acid는 진해(鎭咳), 항염증작용을 한다.
③ LH-1은 면역능을 촉진한다. 물엿(膠飴)
① 오랫동안의 장연동운동능 저하로 장(腸)의 흡수력이 불량하여 저혈당증이 된 인체에 직접 당분을 공급한다.

계 지
① Cinnamic aldehyde는 혈관을 확장한다.
② 신장사구체의 혈류량을 증진하여 이뇨를 촉진한다.
③ 뼈에 대한 영양공급이 불량해서 나타나는 골조송증으로 인한 퇴행성 견통, 어깨관절 주위염에 대한 혈액공급을 증진하고 진통작용을 한다.
④ 자궁혈관 탄력부족에 의한 산후의 출혈과다와 장기간의 월경출혈을 지혈한다.
⑤ 위장점막에의 혈류부족에 의한 소화불량과 한냉통(寒冷痛)에 작용하여 소화를 촉진하고 소화관의 온난감을 증가시킨다.
⑥ O-Methoxy cinnamic aldehyde는 Influenza virus 증식을 억제한다.
⑦ 계지의 정유는 항보체작용을 하여 염증을 빨리 종식한다.
⑧ 진정작용, 진통작용이 있다.
⑨ 황색포도상구균, 상한(傷寒)간균, 피부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投  藥

1. 배는 허복만(虛腹滿)이거나 장경련으로 복직근(腹直筋)이 긴장되어 있다.
2. 수족이 번열(煩熱)할 때도 있다.(정맥말초혈관의 울혈로.)
3. 입은 마르고 목도 마르고(점막세포의 진액부족으로 인하여), 소변은 조금씩 자주 나오는 경우가 많다.(방광괄약근의 운동능부족으로)
4. 면역능 저하로 여러가지 염증을 잘 일으키며, 또는 면역과잉으로 알러지를 일으키는체질이 된다.
5. 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발생하는 저혈압, 고혈압이 많다.
6. 소화불량, 식곤증(食困症)이 있으며, 위액분비(胃液分秘) 저하로 인한 저산증(低酸症)이 되기도 한다.
7. 심계항진, 신경쇠약의 증상이 있다.
8. 영양공급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체로 빼빼하게 여윈 체질이다.
9. 저혈당증상 즉 식욕부진, 도한(盜汗), 무기력(無氣力), 어지러움, 피로 등이 있다.  

應  用

1. 대장경련으로 인한 복통.
2. 야뇨증(夜尿症), 빈뇨증(頻尿症), 야제증.
3. 신장염, 전립선비대 등.
4. 만성복막염의 경한증상으로서 복수가 없고 허약할 때.
5.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증 등의 사람이 혈관운동능저하가 원인일 때.
  이때는 피곤함과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 가벼운 어지러움이 있다.
6. 위하수, 위아토니 [위장평활근이 무력하여 많은 혈류가 위장쪽으로 몰려서 식후(食後)에 졸리거나 하품이 나올 때.]
7. 만성장염, 만성하리, 점액변, 직장암.[장내용물이 장의 연동운동 부족으로 흡수도 잘 되지 않고 배설도 잘 되지 않으므로]
8. 치핵, 탈항, 탈장.
9. 임파선염, 편도선비대, 아데노이드, 알러지1형의 질환.
10. 유정(遺精), 몽정(夢精), 성적신경쇠약 등. [계지가용골모려탕과의 합방증이 많다.]
11. 소아(小兒)노이로제, 소아(少兒)상습성두통 등에도 이 탕증이 많다.
12. 담석증이면서 심하부(心下部)에 둔통이 있을 때. [담도평활근의 운동능 부족으로 담즙분비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여 생긴 병이므로 이 탕을 써서 담도의 평활근운동을 항진시키므로 써 담석을 빼낼 수 있다.]
13. 황달, 만성간염, 간경화.
14. 복통이 발작적이거나 경련성인 충수염.
15. 만성소화불량 특히 소아소화불량.
16. 척추를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 무력하여 나타나는 디스크.
17. 각기로 다리에 힘이 없고 장단지가 땡길 때.
18. 자반병 [정맥모세혈관의 운동능 저하로 인하여 모세혈관이 혈류의 흐름을 지탱하지 못해서 나타날 때.
19. 탈장 특히 소아탈장.
20. 화농성피부염. [일년 내내 종기가 여기저기 생기는 사람은 배농산 및 배농탕을 합방하여 많이 사용된다.]
21. 설사, 변비, 고혈압, 저혈압.
22. 소변 자주 볼 때.[육미지황환과 합방하여 사용한다.]

출처 : 신비한 약초세상
글쓴이 : 초롱박 원글보기
메모 :

 

보익(補益)<보허(補虛)>작용

   

기·혈·음·양의 허(虛)를 보완하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강장 · 대사 · 면역 작용

 

- 보기(補氣)작용

      심(心) · 비(脾) · 폐(肺)의 기허(氣虛)를 보익하는 작용
  • 약재

      감초 · 금작근 · 대조 · 만삼 · 백출 · 백편두 · 부소맥 · 산약 · 상황 · 인삼 · 태자삼 ·황기 
※ 감초 : 뿌리, 금작근 : 골담초, 대조 : 대추 과실, 만삼 : 뿌리,

    백출 : 흰삽주 뿌리줄기(햇뿌리를 말한다), 백편두 : 까치콩 종자,

    부소맥 : 참밀의 덜익은 종자(미성숙 과실), 산약 : 참마의 뿌리, 상황 : 뽕나무 버섯,

    인삼 : 뿌리, 태자삼 : 개별꽃의 뿌리, 황기 : 단 너삼 뿌리


- 보혈(補血)작용

      간(肝) · 심(心)의 혈허(血虛)를 보익하는 작용
  • 약재

      당귀 · 백작약 · 숙지황 · 용안육 · 하수오

※ 당귀 : 뿌리, 백작약 : 함박꽃 뿌리, 숙지황 : 지황 뿌리줄기를 찐것, 용안육 : 뿌리줄기, 하수오 : 덩이뿌리

@ 부인들의 갱년기 전 하혈이 심할때 좋다
 
- 보음(補陰)작용

      간(肝)·비(脾)·폐(肺) · 신(腎)의 음허(陰虛)를 보익하는 작용
  • 약재

      구기자 · 맥문동 · 백합 · 사삼 · 석곡 · 양유 · 여정자 · 옥죽 · 저실자 · 천문동 · 황정 ·흑지마

구기자 : 과실, 맥문동 : 덩이뿌리, 백합 : 참니리의 비늘줄기. 사삼 : 잔대뿌리, 석곡 : 석란의 지상줄기, 양유 : 더덕뿌리, 여정자 : 광나무 과실, 옥죽 : 둥글레 뿌리, 저실자 : 꾸지나무 과실, 천문동 : 덩이뿌리, 황정 : 층층 둥글레 뿌리줄기, 흑지마 : 검은참깨       
 

- 보양(補陽)작용

       신(腎)의 양허(陽虛)를 보익하는 작용
  •약재

      골쇄보 · 구자 · 구척 · 두충 · 보골지 · 사상자 · 선모 · 속단 · 쇄양 · 육종용 · 음양곽

      익지인 · 토사자 · 파극천 · 호도인 · 호로파 · 동충하초

※ 골쇄보 : 넉줄 고사리 뿌리줄기, 구자 : 부추의 종자, 구척 : 뿌리줄기, 두충 : 수피(껍질), 보골지 : 파고지 종자, 사상자 : 과실, 선모 : 뿌리줄기, 속단 : 뿌리, 쇄양 : 뿌리줄기, 육종용 : 줄기껍질, 음양곽 : 삼지구엽초의 전초, 익지인 : 익지 과실, 토사자 : 실새삼 종자, 파극천 : 뿌리, 호도인 : 과실, 호로파 : 종자

@ 약재이름뒤에 가 붙으면 종자, 붙으면 과실

 
 - 강장작용

        기육(肌肉)의 피로 해소, 근육 증대, 수면 · 식욕의 개선으로 정신적 · 육체적 활동의 강화작용

 

 - 면역(免疫)작용

        백혈구의 작용을 증대하고 식균세포의 활동 기능 및 세포 면역의 촉진, 임파구의전화율(轉化率) 상승, 인체 체액 등의 면역과 혈청의 함량 증가에 의한 면역기능의 개선 작용

* 식균세포(食菌細胞) : 혈액이나 조직안을 떠돌면서 세균 등을 잡아먹는 세포로서, 백혈구와 같은 운동세포 또는 비장·임파구의 망상 조직세포 등을 이름

 

 - 적응(適應)작용

        적혈구 및 면역 반응의 상하 조절, 내분비 계통의 퇴행성 개선 작용 


 - 물질대사작용

        혈당의 조절, 핵산 · 단백질 · 콜레스테롤  등의 합성 촉진작용

 

 - 심혈(心血) 작용

         심근 수축력의 증대, 혈관의 확장 및 저항력 강하를 위한 강압 작용, 혈류량의 증가, 조혈 기능을 촉진하는 작용

출처 : 자연속의 사이버농장
글쓴이 : 하도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